-
서포터즈
- 감독과의 대화 [김군] 감독_강상우
- [테이블토크] 집현전 그때 그 사람들(2)
- 늦은 후기 11.14 (1979 부마의 기억)
- 부마민주 영화제 감독과의 대화_[김군] 감독 : 강상우
- 이용철 평론가와 함께하는 씨네토크
- [테이블토크] 집현전 그때 그 사람들(1)
- 베를린 장벽 섹션 [베를린 장벽]
- 부마민주항쟁 다큐멘터리'1979부마의 기억'
- 피에르 올리비에 프랑소와 감독과의 화상채팅
- [평양을즐겨요] [한반도, 100년의 전쟁]
- 부마민주 영화제 감독과의 대화_[연인과 독재자] 감독 : 신정균 (신상옥, 최은희
- 부마 민주 영화제 개막식 및 개막 상영_부마민주항쟁 다큐멘터리 [1979 부마의
- 감독과의 대화 [파업전야] 장동홍 감독(2)
- 감독과의 대화 노동영화의 전설[파업전야]의 장동홍 감독(1)
- 보도기사
- 공지사항
- 문의사항
서포터즈
피에르 올리비에 프랑소와 감독과의 화상채팅
관리자 | 2019.11.20
화상채팅 이라는 말과 함게 극장안에 준비되어진 화면으로 대화를 나눈다는게 신기했다.
허정도씨 서익진교수님 김유철님 외 지역문화인들이 함게 자리를 했다.
질문 : 국내 인터뷰 선택은 어떻게 이루어졌나?
공동제작자인 김병욱감독의 답변 : 공동제작자로 함게하면서 한국쪽 인터뷰 섭외를 맡았는데
그때당시 대선을 앞두고 있어서 조심스러웠는지 박근혜 전대통령과 문제인대통령은 인터뷰를 못하겠다는
답변을 받아서 의도치 않게 어떤 이념에 취우치지 않게 섭외가 되었다.
이 외에도 많은 질문들이 있었다.
특히 이번 다큐는 유럽인들을 대상으로 상영하는 다큐로 제작되었다고 하는데
한국에서 이렇게 관심을 가지고 이런 대화를 할 수 있는 장이 마련되어졌다는 것에 큰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.
김병욱 감독의 이야기다 판무점에서 촬영을 할때
본인은 북한으로 갈 수 없는 상황이였고 프랑소와 감독은 한국과 부쪽을 모두 오 갈 수 있는 상황이였다고 한다.
그리고 판문점 촬영을 허락 받는 다는 것이 한국에서는 3개월이 걸리는데 미국을 통하면 2주만에 이루어졌다는 것에
한국인으로서 씁쓸함을 느꼈다고 한다.
프랑소와 감독의 경우 판문점에서 주의 점을 전달할 때 절 때 이곳은 위험한 곳이라고 이야기 하는게
너무나도 이해가 되지 않았다고 한다.
바로 눈앞에 바로 가까운 곳에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말이다.